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.
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,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
고성군 제2선거구

덤프버전 :

||
파일:고성군_제2선거구8.png
선거인 수23,067명 (2022년)
상위 행정구역경상남도
관할 구역
[ 펼치기 · 접기 ]
고성군 일부
삼산면, 하일면, 하이면, 상리면, 영현면, 영오면, 개천면, 구만면, 회화면, 마암면, 동해면, 거류면
도의원
파일: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.svg

허동원 (초선)




1. 개요[편집]


경상남도의회의 선거구로, 고성군의 대가면을 제외한 모든 면 지역을 관할한다.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선거일 기준 경상남도의회에서 가장 인구가 적은 지역이다. 선거인 수의 경우 이 곳은 면 지역이라 고령화가 더 심각한지라 옆 동네보다 살짝 많다.

면 지역인 지역구인만큼 옆 지역구보다 보수세가 월등히 강한 편이다. 심지어 김경수 고향 버프가 있던 7회 지선에서도 이 지역구에 더불어민주당이 후보를 못냈다.[1] 그 정도로 보수정당의 완전한 텃밭인 지역.

2. 역대 선거 결과[편집]


대수당선자당적임기비고
고성군 제2,3선거구
제5대배원효
무소속

1995년 7월 1일 ~ 1998년 6월 30일[2]
이영국[3]
제6대박장일
파일: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(1997~2004).svg

1998년 7월 1일 ~ 2002년 6월 30일[4]
박창홍[5]
제7대하정만2002년 7월 1일 ~ 2006년 6월 30일[4]
김문수[5]
제8대정종수
파일: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.svg

2006년 7월 1일 ~ 2010년 6월 30일[4]
이동호2006년 7월 1일 ~ 2007년[6][5]
심진표2007년 4월 26일 ~ 2010년 6월 30일
제9대김대겸
무소속

2010년 7월 1일 ~ 2014년 6월 19일[7][4]
하학열
파일: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.svg

2010년 7월 1일 ~ 2014년 3월 20일[8][5]
제10대제정훈
무소속

2014년 7월 1일 ~ 2018년 6월 30일[9]
황대열
ta-hash-start=w-263903fbcdfed99b3332d4f0ee123e66[[파일: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.svg
[10]
고성군 제2선거구
제11대황보길
ta-hash-start=w-ff51b0d4c3c44f11ae27041cfcc9e9f4[[파일: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.svg
2018년 7월 1일 ~ 2022년 3월 23일[11][12]
제12대허동원
파일: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.svg

2022년 7월 1일 ~ 현재

2.1.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[편집]


고성군 제2선거구
삼산면, 하일면, 하이면, 상리면, 대가면, 영현면, 영오면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1이강윤(李康尹)5,4422위

ta-hash-start=w-fef3ce756fc26478497f9d5f92386548[[파일:민주자유당 글자.svg
44.70%낙선
2배원효(裵元孝)6,7321위

무소속

55.29%당선
선거인 수15,317투표율
84.85%
투표 수12,998
무효표 수824

고성군 제3선거구
개천면, 구만면, 회화면, 마암면, 동해면, 거류면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1박창홍(朴昌弘)6,7352위

ta-hash-start=w-8febeae60d6b37bf7e52a9ca960b9ebd[[파일:민주자유당 글자.svg
47.30%낙선
2이영국(李永國)7,5021위

무소속

52.69%당선
선거인 수18,612투표율
81.25%
투표 수15,123
무효표 수886

2.2.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[편집]


고성군 제1선거구
고성읍, 삼산면, 하일면, 하이면, 상리면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1박장일(朴庄一)9,9011위

파일: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(1997~2004).svg

50.88%당선
4김상진(金相珍)3,0793위

무소속

15.82%낙선
5김석신(金錫信)1,7954위

무소속

9.22%낙선
6김용지(金容之)4,6822위

무소속

24.06%낙선
선거인 수27,845투표율
73.01%
투표 수20,332
무효표 수875

고성군 제2선거구
대가면, 영현면, 영오면, 개천면, 구만면, 회화면, 마암면, 동해면, 거류면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-박창홍(朴昌弘)-1위

파일: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(1997~2004).svg

-무투표 당선
선거인 수-투표율
-
투표 수-
무효표 수-

2.3.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[편집]


고성군 제1선거구
고성읍, 삼산면, 하일면, 하이면, 상리면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1하정만(河晶萬)6,8361위
37.02%당선
3김대겸(金大謙)5,4402위
29.46%낙선
4김상진(金相珍)4,6593위
25.23%낙선
5이동일(李東日)1,5264위
8.26%낙선
선거인 수27,147투표율
70.49%
투표 수19,136
무효표 수675

고성군 제2선거구
대가면, 영현면, 영오면, 개천면, 구만면, 회화면, 마암면, 동해면, 거류면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1김문수(金文洙)6,1101위
38.14%당선
3이동호(李東浩)4,5542위
28.42%낙선
4이영국(李永國)3,3883위
21.14%낙선
5장기동(張起동)1,9674위
12.27%낙선
선거인 수21,065투표율
79.55%
투표 수16,759
무효표 수740

2.4.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[편집]


고성군 제1선거구
고성읍, 삼산면, 하일면, 하이면, 상리면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2정종수(鄭宗秀)4,5101위
24.71%당선
6김대겸(金大謙)4,1682위
22.83%낙선
7안수일(安秀日)4,0303위
22.08%낙선
8임현수(林玄洙)3,2864위
18.00%낙선
9하정만(河晶萬)2,2555위
12.35%낙선
선거인 수26,398투표율
70.48%
투표 수18,606
무효표 수357

고성군 제2선거구
대가면, 영현면, 영오면, 개천면, 구만면, 회화면, 마암면, 동해면, 거류면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2이동호(李東浩)5,5351위
38.36%당선
6김문수(金文洙)2,4832위
17.20%낙선
7김흥기(金興基)1,8795위
13.02%낙선
8박충웅(朴忠雄)2,4243위
16.79%낙선
9이영국(李永國)2,1084위
14.60%낙선
선거인 수19,769투표율
75.16%
투표 수14,860
무효표 수431

2.5. 2007년 상반기 재보궐선거[편집]


고성군 제2선거구
대가면, 영현면, 영오면, 개천면, 구만면, 회화면, 마암면, 동해면, 거류면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1심진표(沈鎭杓)3,9931위
39.98%당선
6이영국(李永國)2,3493위
23.52%낙선
7정호용(鄭皓龍)3,6452위
36.49%낙선
선거인 수?투표율
52.42%
투표 수?
무효표 수?

2.6.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[편집]


고성군 제1선거구
고성읍, 삼산면, 하일면, 하이면, 상리면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1정종수(鄭宗秀)6,2352위
41.14%낙선
7김대겸(金大謙)8,9901위
58.85%당선
선거인 수23,438투표율
66.70%
투표 수15,635
무효표 수480

고성군 제2선거구
대가면, 영현면, 영오면, 개천면, 구만면, 회화면, 마암면, 동해면, 거류면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1하학열(河鶴烈)9,0231위
56.86%당선
7이영국(李永國)6,8432위
43.13%낙선
선거인 수24,278투표율
69.33%
투표 수16,834
무효표 수967

2.7.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[편집]


고성군 제1선거구
고성읍, 삼산면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1김종환(金宗奐)6,4032위
44.08%낙선
4박노형(朴魯炯)1,0273위
7.07%낙선
5제정훈(諸廷勳)7,0941위
48.83%당선
선거인 수22,594투표율
65.64%
투표 수14,831
무효표 수306

고성군 제2선거구
하일면, 하이면, 상리면, 대가면, 영현면, 영오면, 개천면, 구만면, 회화면, 마암면, 동해면, 거류면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-황대열(黃大烈)-1위
-무투표 당선
선거인 수-투표율
-
투표 수-
무효표 수-

2.8.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[편집]


고성군 제2선거구
삼산면, 하일면, 하이면, 상리면, 영현면, 영오면, 개천면, 구만면, 회화면, 마암면, 동해면, 거류면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2황보길(黃寶吉)9,1541위
54.57%당선
6이동호(李東浩)7,6192위
45.42%낙선
선거인 수24,241투표율
74.68%
투표 수18,105
무효표 수1,332

2.9.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[편집]


고성군 제2선거구
삼산면, 하일면, 하이면, 상리면, 영현면, 영오면, 개천면, 구만면, 회화면, 마암면, 동해면, 거류면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1오재환(吳在煥)3,3222위
21.70%낙선
2허동원(許東元)9,2671위
60.54%당선
4이동호(李東浩)2,1763위
17.74%낙선
선거인 수23,067투표율
69.18%
투표 수15,960
무효표 수655
지난번 역대급 압승을 거뒀음에도 후보를 못 낸 더불어민주당에서는 오히려 이번에는 이 곳에 후보를 냈다. 오재환 고성군청년정책협의체 위원장 출마하게 되었다.

국민의힘에서는 황보길 도의원이 고성군수를 출마하기 위해 도의원까지 사퇴하였으므로 새 후보를 찾아야 된다.[13] 허동원 고성미래연구원장이 단수공천을 받았다. 한편 이로 인해 경선 기회도 얻지 못하고 컷오프당한 이동호 전 도의원은 이번에도 무소속 출마를 하게 되었다.

개표 결과 국민의힘 허동원 후보가 60%를 얻으며 여유롭게 당선되었다. 세부적으로 보면 구만면에서만 이동호 후보가 1위를 차지하였으며 나머지 모든 면에서 허동원 후보가 1위를 하였다. 그리고 개천면에서만 45%을 기록하였고 나머지 지역은 과반 득표율을 얻었다.

한편 저번 선거에서 45%나 득표했던 이동호 후보는 이번에는 상황이 영 좋지 못한 상황인 더불어민주당의 후보에게도 패배하였는데, 당선무효 경력이 있는 점과 저때는 보수정당 비호감 여론이 극심하던 때인 반면 지금은 얼마 전에 정권까지 얻은 상황인 점[14], 그나마의 적게 있는 반 국민의힘 표도 오재환 후보가 더 많이 가져간 것이 원인으로 보인다.


[1] 물론 더 큰 단위 선거인 경상남도지사와 고성군수 선거에서는 더불어민주당이 승리하였다.[2] 고성군 제1선거구 (삼산면, 하일면, 하이면, 상리면, 대가면, 영현면, 영오면)[3] 고성군 제3선거구 (개천면, 구만면, 회화면, 마암면, 동해면, 거류면)[4] A B C D 고성군 제1선거구 (고성읍, 삼산면, 하일면, 하이면, 상리면)[5] A B C D 고성군 제2선거구 (대가면, 영현면, 영오면, 개천면, 구만면, 회화면, 마암면, 동해면, 거류면)[6] 정치자금법 위반으로 도의원직 상실.[7] 지병으로 사망.[8] 6회 지선 고성군수 출마를 위해 사직.[9] 고성군 제1선거구 (고성읍, 삼산면)[10] 고성군 제2선거구 (하일면, 하이면, 상리면, 대가면, 영현면, 영오면, 개천면, 구만면, 회화면, 마암면, 동해면, 거류면)[11] 8회 지선 고성군수 출마를 위해 사직.[12] 삼산면, 하일면, 하이면, 상리면, 영현면, 영오면, 개천면, 구만면, 회화면, 마암면, 동해면, 거류면[13] 막상 경선에서 이상근 전 군의원, 하학열 전 군수에게 밀리면서 고배를 마셨다.[14] 특히 이 곳은 보수 텃밭이라 그런 비호감 여론이 전국보다 빠른 추세로 누그러들었다.